카테고리 없음

2025 실업급여 계산기: 금액·기간 한 번에 확인하는 법

디지털연금술사 2025. 8. 20. 21:51

실업급여 예상 금액(일액·총액)과 지급일수(120~270일)를 온라인 계산기로 빠르게 확인하고, 수급기간 12개월 규정연기(임신·출산·질병 등) 처리까지 실전 기준으로 정리했습니다. 상·하한액은 2025년 기준을 반영했습니다.

2025 실업급여 계산기: 금액·기간 한 번에 확인하는 법
2025 실업급여 계산기: 금액·기간 한 번에 확인하는 법


1. 계산기로 확인할 수 있는 것

  • 구직급여일액: 퇴직 전 평균임금의 60%에 상·하한 적용해 산출합니다. 2025년 1일 상한 66,000원, 1일 하한 64,192원(최저임금 10,030원×80%×8시간) 입니다.
  • 소정급여일수(지급일수): 가입기간·퇴사 시 연령에 따라 120~270일 범위로 계산합니다. 계산기 결과에 함께 표시됩니다. .
  • 총 예상 지급액: 구직급여일액 × 지급일수. 계산기에서 자동 합산됩니다.
  • 수급기간 개념 확인: 급여를 받을 수 있는 유효기간은 ‘퇴사 다음 날부터 12개월’ 입니다. 계산기 수치와 별개로 반드시 이 기간 안에 받아야 합니다.

2. 공식·대체 계산기 사이트

  • 고용24 실업급여 모의계산기(PC/모바일): 입력 항목이 표준화되어 가장 신뢰하기 쉽습니다. 결과 화면에 일액·지급일수·총액이 동시에 나옵니다.
  • 대체 계산기(참고용): 사람인, 잡코리아, 노동OK 등. 편하지만 모의 결과라 실제와 차이 날 수 있어요.

3. 이용 방법(고용24 기준, 3분)

2025 실업급여 계산기: 금액·기간 한 번에 확인하는 법2025 실업급여 계산기: 금액·기간 한 번에 확인하는 법2025 실업급여 계산기: 금액·기간 한 번에 확인하는 법
2025 실업급여 계산기: 금액·기간 한 번에 확인하는 법

  1. 접속 → ‘실업급여 모의계산’ 선택.
  2. 기본 정보 입력: 퇴사 당시 만 나이, 장애 여부, 고용보험 총 가입기간, 고용보험 종료일, 퇴직 전 급여(최근 3개월 합 또는 평균).
  3. 계산 클릭 → 구직급여일액·지급일수·총액 확인.
  4. 결과 해석 팁
    • 일액이 상한 66,000원을 넘으면 66,000원 적용, 하한보다 낮으면 64,192원(’25) 적용됩니다. 
    • 지급일수는 나이·가입기간 조합으로 산정됩니다(예: 50세 미만 1년 미만 120일… 최대 270일). 
  5. 유효기간 점검: 계산기 지급일수가 남아도 퇴사 다음 날부터 12개월 지나면 소멸합니다. 미리 일정 잡으세요.

<실업급여 계산기 예시>

2025 실업급여 계산기: 금액·기간 한 번에 확인하는 법
2025 실업급여 계산기: 금액·기간 한 번에 확인하는 법
2025 실업급여 계산기: 금액·기간 한 번에 확인하는 법


4. 수급기간(12개월)과 “연기·연장” 핵심

  • 수급기간: 구직급여를 받을 수 있는 유효기간 12개월. 이 안에서 소정급여일수만큼 받습니다.
  • 연기(수급기간 가산): 임신·출산·육아·질병·부상·군복무·배우자 동거 이전·재난 등으로 30일 이상 취업 불가인 기간은 최대 4년 한도 내에서 수급기간을 그만큼 뒤로 미뤄 받을 수 있습니다. 고용센터에 연기사유 신고를 해야 인정됩니다. 
  • 개별·특별연장급여: 생활 곤란 등 일정 요건이면 지급일수 자체를 추가하는 제도도 있습니다(개별연장·특별연장). 계산기에는 반영되지 않으니 센터 상담이 필요합니다.

2025 실업급여 계산기: 금액·기간 한 번에 확인하는 법
2025 실업급여 계산기: 금액·기간 한 번에 확인하는 법


5. 2025 기준 변경 포인트 메모

2025 실업급여 계산기: 금액&middot;기간 한 번에 확인하는 법2025 실업급여 계산기: 금액&middot;기간 한 번에 확인하는 법2025 실업급여 계산기: 금액&middot;기간 한 번에 확인하는 법
2025 실업급여 계산기: 금액·기간 한 번에 확인하는 법

  • 하한액 상향: 최저임금 인상으로 1일 하한 64,192원. 상한은 66,000원 유지입니다.
  • 반복수급자 감액 이슈: 정부가 반복 수급 감액을 추진했으나, ’25.3.31 개편분에는 금액 감액이 포함되지 않았다는 공식 상담 답변이 있습니다. 감액 시행은 추가 공지 확인이 필요합니다. 

6. 자주 묻는 요점

  • 계산기 금액이 실제와 다른가요?
    입력 간략화, 상·하한·수당 반영 여부 차이로 모의 결과와 실제 심사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. 최종은 고용센터 산정입니다.
  • 수급기간은 계산기가 알려주나요?
    지급일수는 보여주지만, 유효기간 12개월은 별도 규정입니다. 연기사유가 있으면 연기사실 신고로 기간을 늘려 받을 수 있습니다.

7. 체크리스트

  • 2025년 하한 64,192원, 상한 66,000원 확인했나요?
  • 계산기 지급일수수급기간 12개월 안에 소진 가능하나요?
  • 임신·출산·질병 등 연기사유가 있으면 신고 절차 준비했나요?

필요한 링크: 고용24 실업급여 모의계산기지원금 모의계산 메뉴에서 바로 계산해 보세요.


계산기로 일액·일수·총액을 먼저 잡고, 12개월 규정연기 신고까지 계획하면 놓치는 돈이 없습니다. 최종 확정은 고용센터 심사 기준을 따르니, 결과 확인 뒤 바로 상담까지 이어가세요.

반응형